성적 선택(Sexual Selection)이란?

성적 선택(Sexual Selection)이란?

성적 선택(Sexual selection)은 같은 종(種) 내 이성(異性)을 차지하기 위한 동성(同性) 간의 경쟁을 말합니다. 이는 ‘생존 경쟁’을 다루는 자연선택의 한 특별한 예이기도 합니다. 모든 생물은 자신의 유전자를 후손에게 물려주려 하며, 이를 위해 배우자(교미 상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행동과 형질(形質)이 진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통틀어 성적 선택이라 부릅니다.


1. 성적 선택의 배경

  • 적응도(Fitness): 얼마나 많은 자손을 남길 수 있는가가 관건
  • 동성 간의 경쟁: 같은 종의 수컷들이나 암컷들 간에 벌어지는 배우자 쟁탈전
  • 자연선택과 달리, 외부 환경이 아닌 짝을 구하기 위한 내적 경쟁이라는 점이 특징

예컨대, 수컷들 사이의 싸움에서 승리하면 더 많은 암컷과 교미해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 과정에서 발달한 수컷의 크고 화려한 장식(갈기, 뿔, 긴 이빨 등)은 때로는 생존에 불리할 수도 있지만, 짝을 얻는 데는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2. 수컷에 의한 선택: “싸움에서 이겨야 한다”

1) 무리지어 생활하거나 하렘(harem)을 형성하는 동물

  • 바다코끼리: 수컷들 간의 격렬한 싸움을 통해 서열이 결정되고, 서열이 높은 수컷이 많은 암컷을 차지
  • 개코원숭이: 서열이 높은 수컷이 번식기에 있는 암컷과 교미할 확률이 높음

특징

  • 수컷은 암컷에 비해 더 크고 힘이 셈
  • 긴 이빨, 거대한 뿔, 갈기 등 뚜렷한 성적 이형성(암수 간 형질 차이)을 보임
  • 경쟁이 치열할수록 성적 이형성 정도가 큼

3. 암컷에 의한 선택: “뇌물·영역·양육… 다양합니다”

암컷은 한 번의 교미로도 충분한 정자를 받을 수 있으며, 새끼 양육 대부분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여러 수컷과 짝짓기해도 큰 이점이 없기에, 암컷은 자신과 새끼의 생존에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수컷을 선택하는 전략을 취합니다.

(A) 뇌물 제공

  • 각다귀붙이(Hangingfly)
    • 수컷이 사냥해온 곤충을 암컷에게 건네주고, 암컷이 먹는 동안 교미 시간을 확보
    • 먹잇감이 풍부할수록 암컷은 오랜 시간 교미를 허용 (약 20분)
    • 먹잇감이 빈약하면 5분 정도로 교미를 끝내기도 함
  • 귀뚜라미
    • 교미 중, 수컷이 정포(정자 주머니) 2개를 암컷 생식공에 붙임
    • 교미가 끝난 후, 암컷은 이 정포를 영양분으로 섭취

(B) 독점적 자원 제공

  • 수컷이 영역(territory)을 지키고, 그 안에 들어온 암컷먹이·산란장·새끼를 기를 공간을 활용하도록 허용
  • 황소개구리: 암컷은 몸집이 큰 수컷을 선호. 넓은 영역에서 안전과 먹이를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

(C) 암컷과 새끼를 보살피는 수컷

  • 붉은 뇌조: 놀랍게도, 몸집이 작은 수컷을 선호. 작은 수컷이 육아에 더 기여한다는 이점으로, 암컷들끼리 ‘작은 수컷’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기도 함
  • Cichlid(시클리드): 아프리카 담수 어류 중에는 반대로 몸집이 큰 수컷을 선호하는 종류도 있음

(D) 정자 외에는 아무것도 제공하지 못할 때

  • 수컷이 영역, 양육, 먹이 등 어떠한 뇌물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 암컷은 매력적인 형질(화려한 색, 긴 꼬리깃털, 아름다운 소리 등)을 보고 짝을 고릅니다.
    • 바우어새(Bower bird): 멋진 둥지를 짓고, 다채로운 장식으로 암컷의 시선을 사로잡음
    • 새·개구리·두꺼비: 큰 소리의 mating call(짝짓기 울음소리)이 번식에 유리. 더 크고 복잡하며 빈번한 울음소리를 내는 수컷을 암컷이 선호

암컷의 심리적 동기

  1. 선택된 수컷의 형질 → 새끼에게 유전 (특히 수컷 새끼가 매력적일수록 번식 성공률이 높아짐)
  2. 화려하고 건강한 형질 = 개체의 건강을 대변한다는 믿음

4. 성적 선택의 의미

  • 수컷: 많은 암컷과 교미 → 더 많은 자손 = 적응도 증가
  • 암컷: 자신과 새끼에게 최적의 이익 → 안전, 먹이, 양육 협조를 제공하는 ‘가장 이득이 큰’ 수컷 선택
  •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컷의 장식, 힘, 크기, 소리 등은 때로는 생존에 불리하지만 짝짓기 성공을 위해 진화
  • 결과적으로 생식적 성공을 높이는 형질이 성적 선택을 통해 유지·발달하게 됩니다.

“성적 선택은 자연선택의 특별한 한 장면”

자연계에서 짝을 구하는 문제는 생존만큼이나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 과정에서 화려한 깃털이나 넓은 영역, 맛있는 먹잇감 같은 특징들이 발전해왔죠. 이러한 성적 선택은 한편으론 강력한 경쟁을 불러일으키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종들의 생존 전략호감 요인을 설명해 주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성적선택 #SexualSelection #배우자선택 #적응도 #번식전략 #동물행동
  • #Hangingfly #바우어새 #황소개구리 #귀뚜라미 #Cichlid #붉은뇌조
  • #자연선택 #진화이론 #교미 #영역선점 #뇌물제공 #matingCall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