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공급,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시장조직론, 소득분배, 시장실패

본 포스팅은 수요-공급,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시장조직론, 소득분배, 시장실패 등 핵심 주제를 순차적으로 다룹니다.
경제학 입문자부터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미시경제학 체계를 이해하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미시경제학의 성격과 신고전파 경제학
  2. 시장과 수요-공급
  3. 소비자이론
  4. 생산자이론
  5. 시장조직 이론
  6.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7.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보론) 미시경제학의 방법론적·철학적 쟁점

1. 미시경제학의 성격과 신고전파 경제학

1) 미시경제학의 기본 성격

  •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가계·기업·정부 등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원리를 다루는 학문
  •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과 대조: 거시는 국민소득, 물가, 실업률 등 ‘전체 경제’를 분석
  • 시장에서 가격이 어떻게 형성되고 자원배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탐구
  • 주류경제학은 크게 신고전파(미시 중심)와 케인스학파(거시 중심)로 갈려 발전

2) 신고전파 경제학의 특징

  • 효용 가치론 기반: 재화의 가치(가격)는 그 재화가 주는 ‘효용(utility)’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
  • 합리적 개인(이기성, 한계효용체감, 최적화, 균형 등)을 전제로 분석
  • 비교정태적 균형 분석: “한 점 균형”에서 수요-공급이 만나는 지점을 중시
  • 가치중립, 객관주의 표방: 규범적 판단(옳고 그름)을 최대한 배제하고 ‘효율성’ 중심으로 접근

2. 시장과 수요-공급

1) 시장(market)의 개념

  • 재화를 사고파는 경제주체들의 모임
  • 가격(price)은 수요자와 공급자의 의사결정을 이어주는 핵심 신호(signal)
  • 배급기능(rationing): 희소한 자원을 ‘가격’을 통해 배분
  • 배분기능(allocative): 각 부문에 자원이 어떻게 분산되는지를 결정

2) 수요(demand)와 공급(supply)

  1. 수요
    • 수요량(QD): 어떤 가격 수준에서 소비자들이 구매 ‘의도’하는 양
    • 결정요인: 재화가격(P), 연관재 가격(PR), 소득(M), 인구(N), 기호(T) 등
    • 수요곡선: 보통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 증가(우하향)
  2. 공급
    • 공급량(QS): 어떤 가격 수준에서 생산자들이 판매 ‘의도’하는 양
    • 결정요인: 재화가격(P), 생산요소가격(w 등), 기술(H), 기업수(C), 미래 예측(E)
    • 공급곡선: 보통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 증가(우상향)

3) 시장균형

  • 부분균형 vs. 일반균형
    • 부분균형: 다른 시장 요인은 고정, 한 시장만 분석
    • 일반균형: 모든 시장을 상호 연계하여 분석
  • *균형가격(P): 수요량=공급량이 되는 가격
  • *균형거래량(Q): 그때 거래되는 재화의 양

4)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 가격탄력성: 가격이 1% 변할 때 수요량(또는 공급량)이 몇 % 변하는지
  • 소득탄력성: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량 변화 정도
  • 교차탄력성: 한 재화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에 미치는 영향

5) 정부개입 사례

  • 물품세(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등): 세금 부과로 가격 변동, 생산·소비 변동
  • 가격상한제(예: 생필품): 시장가격보다 낮게 규제 -> 초과수요, 암시장 등
  • 가격하한제(예: 최저임금): 시장가격보다 높게 규제 -> 초과공급(실업)

3. 소비자이론

1) 효용이론(Utility Theory)

  • 기수적 효용이론(초기 한계효용학파): 효용을 수치로 측정 가능하다고 가정
    •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소비량이 늘어날수록 추가 1단위 소비의 효용은 감소
    • 효용균등화 법칙: 재화 간 화폐당 한계효용이 같도록 선택
  • 서수적 효용이론(무차별곡선 이론)
    •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 동일 효용수준을 주는 재화묶음 집합
    • MRS(한계대체율): IC상에서 x재 1단위 추가 소비 시 기꺼이 포기할 y재의 양
    • 소비자 최적선택은 예산선(Budget Line)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지점

2) 소득·가격 변화와 최적선택

  • 소득변화 →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
  • 가격변화 → 가격소비곡선, 개별수요곡선 도출

3)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 가격 변화는 수요량을 대체효과소득효과로 나누어 분석
  • 대체효과(substitution effect): 상대가격 변화 때문에 다른 재화로 대체
  • 소득효과(income effect): 실질소득이 변한 것처럼 느껴져 수요량이 변동
  • 기펜재: 열등재이면서 소득효과가 대체효과보다 크면, 가격 하락 시 수요량 감소

4) 소비자잉여(Consumer Surplus)

  • 소비자잉여 = 소비자가 기꺼이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금액 – 실제 지불금액
  • 일반적으로 수요곡선 아래 면적이 소비자잉여로 해석
  • 정부정책이나 시장구조에 따라 소비자잉여가 변동

4. 생산자이론

1) 생산함수와 생산요소

  • 생산함수 Q=f(L,K,…): 노동(L), 자본(K), 원자재 등을 투입하여 산출(Q)
  • 단기: 일부 투입요소가 고정.
  • 장기: 모든 투입요소가 가변.

2) 총생산, 한계생산, 평균생산

  • MPL(노동 한계생산): 노동 1단위 증가 시 산출물 증가분
  • APL(노동 평균생산): 노동 1단위당 산출량(Q/L)
  • 보통 한계생산이 평균생산곡선 위를 교차

3) 비용이론

  • 경제적 비용: 명시적 비용 + 암묵적 비용(기회비용)
  • 단기비용:
    • TC(Total Cost) = TFC + TVC
    • AC, AVC, AFC, MC 개념
  • 장기비용:
    • 모든 요인이 가변. LAC는 여러 SAC 곡선의 포락선
    • 규모수익체증 → 평균비용 하락 / 규모수익체감 → 평균비용 상승

4) 확장경로(Expansion path)

  • 생산량 늘릴 때 최소비용 투입조합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주는 곡선

5. 시장조직 이론

1) 완전경쟁시장

  • 특징: 다수의 수요·공급자, 동질재, 자유로운 진입·이탈, 완전정보
  • 기업은 가격수용자(price taker)
  • 단기균형: MC = P에서 생산량 결정 (단, P < AVC이면 생산중단)
  • 장기균형: 기업들은 0의 경제적 이윤(정상이윤)만 얻음, P=LAC 최저점

2) 독점시장

  • 단일 기업이 시장 전체를 공급, 진입장벽 존재
  • 수요곡선 = 시장수요곡선 (우하향)
  • MR=MC에서 이윤극대화. 가격은 MR=MC에서의 수요곡선 상의 값
  • 사회적 후생손실(Deadweight loss) 발생: 경쟁시장보다 생산량 작음, 가격 큼
  • 규제: 한계비용 가격규제, 평균비용 가격규제, 반독점법 등

3) 과점시장

  • 소수의 기업이 시장 지배(자동차, 반도체, 철강 등)
  • 전략적 상호의존: 다른 기업의 행위를 고려해야 함
  • 쿠르노 모델(Cournot): 각 기업이 상대방의 산출량을 고정이라 가정하고 산출량 결정 → 쿠르노 균형
  • 카르텔(Cartel): 기업들이 완전 담합 → 독점처럼 가격·생산량 조절, 그러나 담합유지 어려움(용의자의 딜레마)

6. 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1) 생산요소 수요

  • 완전경쟁가정 시, 기업은 한계생산가치(VMP=MP×P)가 요소가격과 같은 지점에서 생산요소 고용
  • 노동수요곡선은 VMP(L) 곡선
  • 자본수요곡선은 VMP(K) 곡선

2) 소득분배

  • 요소시장에서 결정된 임금·이자·지대 등이 각 가계 소득의 원천
  • 한계생산성이론: 각 요소는 자기 한계생산성만큼의 보수를 받는다
  • 실제 분배에는 노동조합, 자본 집중, 제도적 장벽 등 다양한 요인이 개입

7.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1) 시장실패의 유형

  1. 불완전경쟁(독점, 과점 등) → 후생손실
  2. 공공재(비배제성·비경합성) → 무임승차 문제, 시장에서 공급 부진
  3. 외부성(externality) → 사회적 비용·편익이 시장가격에 반영 안 됨
    • 부정적 외부성(공해): 과잉생산, 피구세·직접규제·배출권거래로 개선
    • 긍정적 외부성(양봉-과수원 등): 과소생산, 보조금·합병 등 해결
  4. 정보의 비대칭성 → 역선택·도덕적 해이 등 발생

2) 정부실패

  • 정부 개입이 오히려 비효율적 결과 초래할 수 있음
  • 원인: 관료·정치인 이기적 행위, 정보 부족, 비경쟁성, 정책시차 등

(보론) 미시경제학의 방법론적·철학적 쟁점

  1. 방법론적 개체론 vs. 전체론: 개인의 합리성 중시(신고전파) vs. 구조·제도 중시
  2. 합리성 가정의 타당성: bounded rationality(제한된 합리성) 고려 필요
  3. 정부 개입과 시장 자율: 효율성, 형평성, 자유주의, 사회주의 등 이념 대립
  4. 정보 문제: 완전정보 전제의 한계 → 시장의 지식발견 기능(Hayek) 강조

결론 및 마무리

  • 미시경제학은 시장 원리와 개인의 합리적 선택을 중심에 두어 가격·자원배분 과정을 설명합니다.
  • 오늘날에는 전통적 신고전파 모델뿐 아니라 행동경제학, 게임이론, 정보경제학, 제도경제학 등 다양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시장만능을 주장하기보다, 시장실패와 정부실패가 각각 존재함을 인식하고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합니다.

참고 키워드(SEO 최적화)

  • 미시경제학 입문
  • 수요와 공급
  •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 시장조직(완전경쟁·독점·과점)
  • 소득분배, 한계생산성이론
  • 공공재, 외부성, 정부실패
  • 담합, 쿠르노, 카르텔
  • 시장실패 사례

이상으로 미시경제학의 핵심 내용을 요약해보았습니다.

  • 입문자라면 먼저 수요-공급, 소비자이론을 숙지하고,
  • 심화 단계에서는 생산자이론, 시장조직, 요소시장을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 경제정책·공공경제 영역까지 확장하려면 시장실패정부 개입 이슈를 깊게 다뤄보시길 권합니다.

Leave a Comment